CCMP 3

[활용편-1부] 추가설정 및 팁

어흠. 이 포스트 한개를 석달 째 쓰고 있군요. 지난 편에서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혔으니 이제 보다 자막을 만드는 데 유용한 활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1. 보정시간 설정 처음 CCMP를 설치하면 좌측하단에 -600이라는 숫자가 보일 겁니다. 이건 싱크를 찍는 순간에서 0.6초 정도 자막의 싱크를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니까. 재생시작하고 2초 정도 지나서 싱크를 찍으면(키를 누르면) 실제 싱크는 1.4초에 찍히게 된다는 것이죠. 자막제작자는 대사를 듣는 순간 키를 누르기 때문에 인간의 반응속도에 따른 편차가 0.1~0.3초 정도 생기게 되고 감상자에게 자막이 나온다는 걸 알려주기 위해 버퍼로 0.3~0.5초 정도를 더 당겨서 싱크를 기록하는 겁니다. 정확하게 여유없이 딱딱 맞춰놓은 자막을 재생해보면 무..

ICM 프로젝트 중간보고

전 남들이 몇 주면 끝낼 일을 몇 년씩 하는 특기가 있습니다. ^^; 이 ICM 프로젝트(Iceman2k's Caption Maker)도 그중 하나인데요. Windows Media Video(이하 WMV) 7.0이 나오면서 제가 애용하는 자막툴 CCMP에서 애로사항이 꽃피기 시작했습니다. 영상이 많이 밀리거나 중간재생이 힘들어서 싱크찍기가 거의 불가능했던 거죠. 이건 CCMP라는 녀석이 WMP 6.4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생기는 문제였습니다. 윈도우에 내장된 WMP(Windows Media Player)가 8.0, 10.0으로 올라가도 CCMP는 여전히 6.4니까 영상을 제대로 돌릴 수 없는 건 당연한 거죠. 대안으로 여러가지 툴을 검토해봤습니다만 제 입맛에 맞는 녀석이 없더군요. 그래서 직접 삽을 들..

[자막을 만들자] 자막편집기 다루는 법 <기초>

아래 글은 무려 2년 전에 써놨던 글입니다만 이제야 빛을 보는 군요. 이 죽일 놈의 귀차니즘 -_-; 자. 이제 자막제작툴에 대해서 배워봅시다. 제가 애용하는 툴은 CCMP라는 툴입니다. 버전이 1.20까지 나온 상태에서 개발이 중단된 툴이지만 지금도 많은 분들이 애용하는 툴이랍니다. (참고로 CCMP2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자. 받아서 설치해봅시다. 그냥 다음만 연타해도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끝났으면 바탕화면에 다음 아이콘이 생겼을 겁니다~ 실행시켜보세요. 자. 다음 화면이 CCMP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아이콘이 여러 개 있습니다만. 나중에 쓸 일이 생기면 설명하겠습니다~ 왼쪽의 까만 부분이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이고 오른쪽의 하얀 부분이 자막을 써넣는 곳입니다 일단 파일>미디어 불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