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요즘 인생이 고달프네요.
환율 및 기타등등의 이유로 지름신도 안오시고
회사에서는 서바이벌플랜 어쩌고 하면서 회식비, 야근식대도 줄이고
쓰잘데 없는 사이드잡을 톨레미에 덤벼드는 오토마톤 마냥 양산해내지 않나
그나마 우리 쥬니어 재롱 떠는 걸 보며 생활의 활력소로 삼고 있었습니다만
요즘 퇴근도 늦어지니 그것 마저도... 어흑...
개인적으로(집에서) 진행하던 프로젝트도 전부 지지부진하고...
아. ICM 정도가 요즘 살아서 명맥은 유지하고 있군요.
1단계 CCMP를 초월, 2단계 궁극의 자막툴로 자리매김, 3단계 상업성타진...
이렇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1단계를 마치기도 힘이 드네요.
상업성 말이 나와서 하는 소리입니다만
프로그래머들이 먹고 살기에 대한민국은 참 안 좋은 나라에요.
그저 기업에 소속되어 제품을 만드는 것 밖에 답이 없으니까요.
그나마 게임 쪽이 "성공"했을 때 억대 인센티브라도 받는다지만
일반 기업체에서는? 정말 답이 없어요. 백만원이나 주나? -_-;
다른 나라들을 보면 퇴근 후 남는 시간에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서
쉐어웨어로 배포하고 떼돈을 벌어 인생역전하는~
실리콘밸리 성공신화가 바로 옆집 이야기처럼 흔한데
우리나라는?
위기 때마다 그걸 핑계삼아 같은 월급주면서 일은 더 많이 시키고
그 추가적인 일 때문에 개인생활이 서서히 잠식당하고...
그게 점점 더 누적되면? 일만하는 일개미가 되는 거죠.
그나마 시간이 좀 돼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 쳐도
우리나라에는 쉐어웨어로 수익을 얻는 비지니스모델이 안 통해요.
불법복제라는 끝내주게 멋진 방법이 있으니까.
SKT에서 앱스토어를 연다고 하던데
애플의 앱스토어처럼 개인개발자가 진입하는 건 거의 불가능할 겁니다.
기존 WAP 어플리케이션 시절에도 (물론 지금도 살아있지만...)
테스트하기 위해 받는 계정조차 돈을 따로 받더군요.
저질 어플리케이션을 막는다는 핑계로 말이지요.
그래서 ICM도 영어를 베이스로 개발하고 있는 겁니다.
우리는 CCMP나 한방에, SAMIMAKER 등의 멋진 통합 프로그램이 있지만 (그것도 공짜!)
서구권 애들은 대본 따로, 타이밍 따로, 동영상에 입히는 것도 따로, 배포도 따로...
혼자서는 아무 것도 못하는 체계더군요. -_-;
그래서 영문 fansub영상은 빨라야 2~3일 뒤에 나오는 거죠.
아무튼 잡소리가 길었네요,
잡담 카테고리에 진짜 잡담이 하나 등록된 것 같아 나름 기쁩니다. 훗
'MyStory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기작 선정을 위한 가위바위보 대전! (26) | 2009.03.30 |
---|---|
야구를 보고... (8) | 2009.03.24 |
고달픈 인생 (10) | 2009.03.18 |
넷북에서 게임하기 - 문명4 (16) | 2009.02.23 |
HP mini 1000, VGA 어댑터의 비밀 (10) | 2009.02.19 |
컥! 커커컥! (12) | 2009.01.22 |
-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03.18 22:14
영문 자막에 그런 비밀이 숨겨져 있었군요 ;;;
프로그램을 힘들게 만들어놔도
대접을 해주기는 커녕 불법복제나 해대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네요. -
라꾸 2009.03.18 22:22
우리나라를 먹여살린다는 허울좋은 명분의 대기업들이 저지르는 횡포는 실로 무시무시하죠.
논리적 체계적 마인드를 가진 세계 최고의 기업들을 제발 좀 본받았으면 ㅠㅠ -
라크시온 2009.03.19 13:58
최근들어서 더욱 더 불법유포가 확장되고 있다는 기사를 볼때마다 어딘가 쓸쓸해지네요.
잠깐이지만 대학교 1학년때 강의로 '프로그래밍'이라는 강의를 배웠었는데,
프로그램 하나를 개발하려면 엄청난 노력과 눈물젖은 라면을 먹어야 한다는 걸 배웠었어요.
...많은 반성을 한 다음부터는 제 값을 주고 프로그램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네요.
3일전에 기한이 끝난 백신 프로그램을 지우고 영향력 있는 다른 백신 프로그램을 지른 생각을 하니
왠지 아쓰맨님 블로그에 와서도 뿌듯하기도 하네요. ^^;
아직까지 많은 발전이 있어야겠지만, 조금씩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어나간다면
충분히 외국 못지않은 기발한 발상의 프로그램들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
톡깽이 2009.03.19 22:40
상업성이라.... 이단 배포가 많이되면 알씨나 알약처럼 베너넣는데
만들어서 서버연동해서 나오게하는거도 날듯해요....
에드구글로요... -
미즈-♬ 2009.03.21 10:00
외국 팬섭은 제작 방법도 달라요.
smi처럼 단순 글자 출력이 아니기 때문에요.
보다보면 일어로 써있는 텔럽 옆 또는 아래쪽에 모양도 비슷하게 영어로 출력시키기도 하죠.
오프닝, 엔딩의 원문, 영문발음, 번역 (가끔 원문은 빠지기도 하지만)에 가사 나올 타이밍에 해당 글자를 노래방 형식처럼 돋보이게 만들기도 하구요.
또, 서양쪽은 영화를 자막을 입혀서 본다는 생각을 하질 못하는 동네기 때문에 팬섭 제작도 많이 힘들죠.
그리고 가장 큰 이유로 번역속도가 느리다는 점도 있죠.
한자를 자주 접하고, 말만 조금 익혀도 배울 수 있는 우리나라와 다른 서양의 언어구조도 있구요.